본문 바로가기
정보 세상/꿀팁

올바른 제사상 차리는 방법

by 내가 사는 이야기 2024. 2. 8.
728x90

한국의 국가 명절인 추석과 설날, 이 두 가지 특별한 날에는 가족들이 모여 명절을 보내기도 하지만, 또한 조상에 대한 예의를 갖추기 위해 차례나 제사를 지내기도 합니다.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의 기리는 전통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때 음식의 색깔과 종류에 따라 상차림 위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오늘은 제사상을 차리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사란 무엇인가?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기 위한 의식으로, 여러 종류가 있지만 현대에 와서는 주로 추석이나 설날에 지내는 차례 정도만 남아 있습니다.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을 "재수"라고 하고, 이를 담는 그릇을 "제기"라고 부릅니다.

반응형

제사상 차례 이미지로 보기

준비물: 음식과 제기

  • 음식 준비: 밥, 국, 술잔은 신의주대로 준비하며, 두 분 이상의 신위를 모시는 경우에는 밥과 국, 술잔만 준비하면 됩니다. 그 외에도 술, 식초, 간장, 나물, 과일 등 기타 음식들을 공통으로 준비합니다.
  • 제기: 준비한 재수를 제기에 담아 격식에 맞춰 배열합니다.

제사상 음식의 배치 방법

728x90
  1. 신의 수에 따른 음식 준비: 두 분 이상의 신위를 모시는 경우, 밥과 국, 술잔만을 신의주대로 준비합니다.
  2. 음식 배치 방법
    • 1열: 밥과 국, 술잔을 놓습니다. 이때, 밥은 서쪽에, 국은 동쪽에 두어야 합니다. 조상님의 입장에서 보면 우리와 반대로 드신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2열: 주유리인 고기와 생선 전, 적을 놓는 자리입니다.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배치하며, 고기와 생선은 각각 동쪽과 서쪽에 놓습니다.
    • 3열: 어탕, 두부, 육탕 등 탕류 음식을 올리며 어동육서에 맞춰 배치합니다.
    • 4열: 밑반찬류를 올립니다. 포는 왼쪽, 생선 젖과 식혜는 오른쪽에 배치하고,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아야 합니다.
    • 5열: 후식에 해당하는 과일과 한과를 올립니다. 과일류는 홍등백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오른쪽, 흰색 과일은 왼쪽에 둡니다.

주의사항과 권고사항

  • 주의할 점: 생선은 치로 끝나는 종류를 피하고, 복숭아, 마늘, 고춧가루는 귀신을 쫓아낸다고 여겨 제사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 편리한 팁: 홀수를 좋은 숫자로 여겨, 음식이나 과일은 짝수보다는 홀수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전통을 따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사상을 차리는 것은 공경과 감사의 마음이 더 중요합니다. 음식 가짓수를 줄이는 것은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지만, 음식 배치에는 깊은 의미가 담겨 있으므로 신경 써야 합니다. 조상님께 바치는 이 작은 의식이 가족의 화합과 풍요로운 생활을 기원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정성스럽게 차리는 제사상은 가족들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기억에 남는 특별한 순간을 만들어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


top:1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