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 되면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 돌아옵니다. 사업소득, 기타소득, 금융소득 등을 얻으시는 분들은 반드시 5월 한 달 동안 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내야 할 세금이 있다면 납부하고, 받아야 할 세금이 있다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디서 신고를 하시나요? 혹시 아직도 비싼 수수료를 내면서 3.3% 사이트를 이용하시나요? 그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요즘은 홈택스를 통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소득세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홈택스로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먼저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저는 컴퓨터 PC 버전으로 신고를 하겠습니다. 홈택스에 로그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간편 인증을 통해 카카오톡이나 통신사 패스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페이지 이동
로그인 후 홈페이지에서 가운데에 큰 배너가 보일 겁니다. ‘신고하러 가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만약 배너가 보이지 않으면, 아래쪽의 ‘종합소득세 전기 신고’를 눌러도 됩니다. 그럼 체험 환급 안내와 함께 환급받을 금액이 표시됩니다.
소득 종류 추가하기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소득의 종류에는 사업소득, 기타소득, 금융소득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엔 사업소득만 신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기타소득이 누락된 상태였기 때문에 이를 추가해서 환급액을 더 늘릴 수 있었습니다.
소득 내역 추가 및 수정
소득 내역 확인 및 수정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주민등록번호 옆에 있는 조회 버튼을 눌러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합니다. 세부 내역을 확인하고, 소득 종류를 선택합니다. 저는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을 모두 체크했습니다. 사업소득 외에 누락된 기타소득을 추가해서 환급액을 늘려보겠습니다.
자동 소득 불러오기
‘소득 불러오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소득이 추가 입력됩니다. 기타소득을 추가하니 환급액이 44만 원에서 59만 원으로 15만 원이나 늘어났습니다.
종합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신고
신고서 제출 및 지방소득세 신고
종합소득세 신고서 제출하기 버튼을 눌러 신고를 완료합니다. 아직 끝난 것이 아닙니다. 신고서 제출 목록에 들어가면 지방소득세 신고가 빨갛게 표시됩니다. 이를 클릭해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종합소득세 환급액의 10%를 추가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최종 환급 금액 확인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 합산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모두 신고해서 총 65만 원을 환급받게 되었습니다. 6월에서 7월쯤 여러분이 등록한 계좌로 환급 금액이 자동 입금된다고 하니 그때 맛있는 것 사드세요. 매년 소득이 생기면 무조건 해야 하는 것이니 굳이 비싼 수수료를 내며 3.3% 같은 사이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겠죠?
자주 듣는 질문
Q1. 홈택스를 사용하기 어려운가요?
A1. 홈택스는 매우 사용자 친화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하고, 몇 번의 클릭만으로 소득세 신고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Q2. 소득 종류를 추가하는 방법이 복잡한가요?
A2. 아닙니다. 소득 종류를 추가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신고서 수정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추가할 소득 종류를 선택한 후, ‘소득 불러오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Q3. 환급액이 예상보다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3. 환급액이 예상보다 적다면, 누락된 소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사업소득뿐만 아니라 기타소득, 금융소득 등을 모두 확인하고 추가해야 합니다.
결론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홈택스를 통해 간편하게 소득세 신고를 완료하고, 환급받을 수 있는 모든 소득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굳이 비싼 수수료를 지불할 필요 없이, 누구나 쉽게 환급받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이렇게 하면 6월에서 7월 사이에 여러분의 계좌로 환급 금액이 입금될 것입니다. 꼭 잊지 말고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 모두 신고해서 최대한 환급받으세요.
'정보 세상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생계급여 (0) | 2024.05.22 |
---|---|
2024년 변경된 현금 증여세법 (0) | 2024.05.21 |
현금 증여세 피하는 법 (가족간 계좌 이체시) (0) | 2024.05.14 |
가족간 계좌이체 세금 증여 주의 방법 (0) | 2024.04.18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조건 방법 (0) | 2024.04.16 |
댓글